[물리학實驗 리포트 보고서] 등전위선 측정(測定)
페이지 정보
작성일 19-10-16 23:52
본문
Download : [물리학실험 레포트 보고서] 등전위선 측정.hwp
어떤 점에서의 전기장의 세기 E는 그 점에서 단위 양전하 q 당 작용하는 전기력 F, 즉 간단히 E〓F/q로 정이할 수 있다 만약 그 2번째, 즉 시험 전하의 전하량이 2배 정도 크면 시험전하가 받는 힘은 2배가 되나 그것의 비(F/q)인 전기장의 크기 E는 어떤 점에서도 동일하다. 엄밀하게 말하면, 전기장을 지닌 작은 시험전하를 가져오면 이미 존재하고 있는 전기장은 약간 변한다. 전기장은 크기와 방향을 모두 가지는데 양전하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전기장의 방향으로 정한다. 전기장은 시험전하가 나타남으로 인한 전기장의 변동이 있기 전에 단위 양전하당 작용하는 힘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음전하에 미치는 의 방향은 양전하에 미치는 힘과 반대방향이다. 역선이란 만약 작은 양의 시험전하가 전기장 안에 놓여질 경우 움직일 경로를 나타낸다.설명
Download : [물리학실험 레포트 보고서] 등전위선 측정.hwp( 89 )
[물리학실험 레포트 보고서] 등전위선 측정 , [물리학실험 레포트 보고서] 등전위선 측정물리실험결과 , 물리학실험 레포트 등전위선 측정
![[물리학실험%20레포트%20보고서]%20등전위선%20측정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EC%8B%A4%ED%97%98%20%EB%A0%88%ED%8F%AC%ED%8A%B8%20%EB%B3%B4%EA%B3%A0%EC%84%9C%5D%20%EB%93%B1%EC%A0%84%EC%9C%84%EC%84%A0%20%EC%B8%A1%EC%A0%95_hwp_01.gif)
![[물리학실험%20레포트%20보고서]%20등전위선%20측정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EC%8B%A4%ED%97%98%20%EB%A0%88%ED%8F%AC%ED%8A%B8%20%EB%B3%B4%EA%B3%A0%EC%84%9C%5D%20%EB%93%B1%EC%A0%84%EC%9C%84%EC%84%A0%20%EC%B8%A1%EC%A0%95_hwp_02.gif)
![[물리학실험%20레포트%20보고서]%20등전위선%20측정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AC%BC%EB%A6%AC%ED%95%99%EC%8B%A4%ED%97%98%20%EB%A0%88%ED%8F%AC%ED%8A%B8%20%EB%B3%B4%EA%B3%A0%EC%84%9C%5D%20%EB%93%B1%EC%A0%84%EC%9C%84%EC%84%A0%20%EC%B8%A1%EC%A0%95_hwp_03.gif)
[물리학實驗 리포트 보고서] 등전위선 측정(測定)
실험결과/물리
순서
물리학실험,레포트,등전위선,측정,물리,실험결과
[물리학實驗 리포트 보고서] 등전위선 측정(測定)
實驗(실험)タイトル : 등전위선 측정(measurement)
實驗(실험)목적 : 전기장이 형성된 수조 안에서 전극의 형태에 따른 등전위선의 모양 및 전기장의 방향을 실질적으로 등전위선을 측정(measurement)하여 전기장의 정이 을 이해한다. 전기장의 크기는 전하가 공간에 어…(skip)
다. 전기장의 세기는 시험전하에 의존하지 않고 원전하에 의존한다. 역선(力線), 즉 장(場)의 선으로 나타내면 전기장은 양전하에서 출발해서 음전하에서 끝나는 것으로 그려진다. 양전하끼리는 서로 밀기 때문에 고립 양전하 주위의 전기장은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향한다. 전기장의 세기는 역선의 밀집도에 비례한다.
이론(理論)
전기장 : 전기력이 다른 전하에 작용되는 한 전하의 주변 영역. 전기력을 일정한 거리에 떨어져 있는 두 전하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으로 생각하지 않고, 한 전하를 주변공간으로 뻗어나가는 전기장의 근원으로 보며, 이 공간 내에 있는 다른 전하에 가해지는 힘을 이 2번째 전하와 전기장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으로 생각한다. 공간적으로 장이 형성되는 모양을 확장하여 생각해보고 우리가 살고 있는 실 공간에 무수히 얽힌 정장 및 자장, 중력장 등의 모양을 상상해 본다. 역선의 접선 방향은 그 점에의 전기장의 방향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