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일반물리학 test(실험) -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포사체 운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18 03:24본문
Download : [자연과학] 일반물리학 실험 -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포사체 운동.hwp
포물체 운동은 등...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포사체 운동
[1] 實驗 목적
포사체의 포물선 운동을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운동으로 나누어 分析해 보고, 이를 통하여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역학적 에너지보존을 확인한다.
(2.1) …(省略)
순서
[자연과학] 일반물리학 test(실험) -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포사체 운동
[자연과학] 일반물리학 실험 -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포사체 운동 , [자연과학] 일반물리학 실험 -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포사체 운동물리실험결과 , 자연과학 일반물리학 실험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포사체 운동
실험결과/물리
Download : [자연과학] 일반물리학 실험 -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포사체 운동.hwp( 21 )
자연과학,일반물리학,실험,동영상,장비를,이용한,포사체,운동,물리,실험결과
[자연과학] 일반물리학 test(실험) -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포사체 운동
다.
성분(成分)인 , 에 의해 포사체의 수평거리는 다음과 같다. 수평거리를 ,,로 나타내 보자.
수평거리 은 포물체가 최고점까지 가는 데 걸린 시간의 두배,
즉 동안 이동한 수평위치이다.
포물체 운동은 등가속도 2차원 운동의 특별한 경우이므로, 방향으로의 가속도가 0이고 방향으로 인 운동으로 다룰 수 있다
따라서 포물체 운동을 分析할 때 이를 수평방향 등속운동과 수직방향 자유낙하 운동의 중첩으로 간주할 수 있다 포물체 운동의 수평성분(成分)과 수직성분(成分)은 서로 완전히 독립적이며 따로 다룰 수 있다 다만 시간 는 두 성분(成分)이 공유하는 변수이다.
(1.1)
성분(成分)인 , 임을 이용하여 포사체의 수직거리는 다음과 같다.
[2] 實驗 기구
I-CA system, 스크린, 발사장치 및 형광구, 발사장치 고정용 클램프
▲ 장치 모형
[3]實驗 theory
그림 1 처음속도 로 원점을 떠나는 포물체의 포물선 경로
포물체가 시간 에서 속도로 원점 에서 벗어난다고 가정하면,
속도 가 축과 의 각을 이루면, 이 각 를 투사각이라 한다.
(1.1)
성분(成分)인 , 임을 이용하여 포사체의 수직거리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코사인과 사인함수의 定義(정이)에 의해 처음의 속도의 와 성분(成分)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를 포물체의 수평거리라 한다.
(1.2)
그런 다음 을 대입하면
(1.3) 을 얻는다.
[2] 實驗 기구
I-CA system, 스크린, 발사장치 및 형광구, 발사장치 고정용 클램프
▲ 장치 모형
[3]實驗 theory
그림 1 처음속도 로 원점을 떠나는 포물체의 포물선 경로
포물체가 시간 에서 속도로 원점 에서 벗어난다고 가정하면,
속도 가 축과 의 각을 이루면, 이 각 를 투사각이라 한다.
(1.2)
그런 다음 을 대입하면
(1.3) 을 얻는다. 의 성분(成分)에 의해 임에 유의하고, 일때 로 두면, 다음과 같은 식을 얻는다.
성분(成分)인 , 에 의해 포사체의 수평거리는 다음과 같다.
![[자연과학]%20일반물리학%20실험%20-%20동영상%20장비를%20이용한%20포사체%20운동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C%EB%B0%98%EB%AC%BC%EB%A6%AC%ED%95%99%20%EC%8B%A4%ED%97%98%20-%20%EB%8F%99%EC%98%81%EC%83%81%20%EC%9E%A5%EB%B9%84%EB%A5%BC%20%EC%9D%B4%EC%9A%A9%ED%95%9C%20%ED%8F%AC%EC%82%AC%EC%B2%B4%20%EC%9A%B4%EB%8F%99_hwp_01.gif)
![[자연과학]%20일반물리학%20실험%20-%20동영상%20장비를%20이용한%20포사체%20운동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C%EB%B0%98%EB%AC%BC%EB%A6%AC%ED%95%99%20%EC%8B%A4%ED%97%98%20-%20%EB%8F%99%EC%98%81%EC%83%81%20%EC%9E%A5%EB%B9%84%EB%A5%BC%20%EC%9D%B4%EC%9A%A9%ED%95%9C%20%ED%8F%AC%EC%82%AC%EC%B2%B4%20%EC%9A%B4%EB%8F%99_hwp_02.gif)
![[자연과학]%20일반물리학%20실험%20-%20동영상%20장비를%20이용한%20포사체%20운동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C%EB%B0%98%EB%AC%BC%EB%A6%AC%ED%95%99%20%EC%8B%A4%ED%97%98%20-%20%EB%8F%99%EC%98%81%EC%83%81%20%EC%9E%A5%EB%B9%84%EB%A5%BC%20%EC%9D%B4%EC%9A%A9%ED%95%9C%20%ED%8F%AC%EC%82%AC%EC%B2%B4%20%EC%9A%B4%EB%8F%99_hwp_03.gif)
![[자연과학]%20일반물리학%20실험%20-%20동영상%20장비를%20이용한%20포사체%20운동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C%EB%B0%98%EB%AC%BC%EB%A6%AC%ED%95%99%20%EC%8B%A4%ED%97%98%20-%20%EB%8F%99%EC%98%81%EC%83%81%20%EC%9E%A5%EB%B9%84%EB%A5%BC%20%EC%9D%B4%EC%9A%A9%ED%95%9C%20%ED%8F%AC%EC%82%AC%EC%B2%B4%20%EC%9A%B4%EB%8F%99_hwp_04.gif)
![[자연과학]%20일반물리학%20실험%20-%20동영상%20장비를%20이용한%20포사체%20운동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E%90%EC%97%B0%EA%B3%BC%ED%95%99%5D%20%EC%9D%BC%EB%B0%98%EB%AC%BC%EB%A6%AC%ED%95%99%20%EC%8B%A4%ED%97%98%20-%20%EB%8F%99%EC%98%81%EC%83%81%20%EC%9E%A5%EB%B9%84%EB%A5%BC%20%EC%9D%B4%EC%9A%A9%ED%95%9C%20%ED%8F%AC%EC%82%AC%EC%B2%B4%20%EC%9A%B4%EB%8F%99_hwp_05.gif)
설명
동영상 장비를 이용한 포사체 운동
[1] 實驗 목적
포사체의 포물선 운동을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운동으로 나누어 分析해 보고, 이를 통하여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역학적 에너지보존을 확인한다.
여기서 코사인과 사인함수의 定義(정이)에 의해 처음의 속도의 와 성분(成分)은 다음과 같다.
그림 2 일 때 원점에서 처음 속도로 쏘아 올린 포물체
그림 2처럼 일 때 양의 성분(成分)으로 쏘아 올린 포물체가 있다고 가정하자.
分析할 때 특별히 관심 있는 두 위치는 직교 좌표로 인 최고점 와 인 점이다.